반응형

자급제 휴대폰 쉽게 알아보기
자급제 휴대폰 쉽게 알아보기

자급제란 단말기(휴대기기)를 이동통신사(SKT, KT, U+)를 거쳐 구매하지 않고 직접 구매하는 방식을 이야기합니다. 휴대기기(공기계)를 전자제품점이나 온라인 쇼핑몰 등을 통하여 구매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단말기 자급제는 2012년도부터 시행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알뜰폰 통신사의 등장으로 통신요금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급제 휴대폰 사용자는 점점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최신형 휴대기기를 대리점보다 싸게 판매하고 있습니다.

 

목차

  • 자급제란?
  • 자급제의 장점
  • 자급제의 단점
  • 정리

 

[알뜰폰정보] - 알뜰폰 간단하게 알아보기

자급제란?

기존 휴대폰은 통신사를 가입하는 조건으로 구매할 수 있었습니다. SKT, KT, U+ 대리점에서 직접 구입하는 방식으로만 가능했습니다. 단말기(휴대전화) 기기 값이 비싸기 때문에, 대부분 24개월 혹은 36개월 약정(할부)로 구매했습니다. 이에 통신요금을 더해 납부하는 방식으로 말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약정기간 내에는 반드시 해당 통신사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위약금 문제가 자주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자급제 기기를 직접 구매하게 되면, 이러한 약정 없이 휴대기기를 언제든 바꿀 수 있습니다. 요즘같이 중고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때에는, 언제든 원하는 때에 쓰던 휴대폰을 팔고 최신형 기기를 다시 구매할 수 있는 것이죠. 약정이 없어 자유로운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자급제(공기계)의 가장 큰 장점이 아닐까 합니다.

 

자급제의 장점

1. 약정이 없어 기기변경이 자유롭다.

자급제 기기는 언제든 원하는 때에 사용하던 휴대기기를 팔고 새로운 기기를 구매해도 상관없습니다.

 

2. 요금제 선택이 자유롭다.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할인을 받기위하여 비싼 요금제를 선택하지 않아도 됩니다.

 

3. 온라인 쇼핑몰 구매시 카드 할인(무이자) 등을 통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대표적인 쇼핑몰로 쿠팡이 있는데, 이벤트 등을 통해서 12개월 혹은 24개월 무이자 할부로 단말기(공기계)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할인쿠폰 등을 적용하여 더 싼 가격에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4. 사기 당할 일이 없다.

폰팔이라고 불리는 일부 양아치 업자들에게 사기당할 일이 없습니다. 단말기만 인터넷에서 직접 구매하기 때문에 덤터기를 씌우려고 해도 씌울 수가 없습니다.

 

자급제의 단점

1. 단말기 지원금을 받을 수 없다.

휴대기기는 출고가가 정해져 있습니다. 예를들어 아이폰12의 출고가가 100만원이라고 하면, 인터넷에서는 거의 100만원 정도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리점은 각 통신사에서 지원금이 나옵니다. 만약 SKT에서 30만원을 지원해준다면, 소비자는 80만원에 아이폰12를 살 수 있는 것이죠. 

 

2. 리베이트를 받을 수 없다.

일부 인터넷에서 성지라 불리는 대리점들이 있습니다. 위에서 이야기했던 통신사 지원금보다 더 많이 할인해주는 것이죠. 마찬가지로 아이폰 12의 출고가가 100만원인데, SKT에서 30만원을 지원해주고 대리점에서 30만원을 더 얹어서 소비자는 40만원에 아이폰 12를 살 수 있도록 말입니다. 이러한 대리점은 불법이지만 아직까지도 암암리에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정리

자급제의 단점보다는 장점이 훨씬 크다고 생각됩니다. 선택약정할인제도를 이용하여 요금할인 혜택을 크게 받을 수도 있고, 요즘 많이 유행하고 있는 자급제+알뜰폰 조합으로 통신비를 많이 절약할 수도 있습니다. 휴대기기를 새로 구입하시는 분이라면, 시간만 있다면 조금 공부해서라도 저는 무조건 자급제를 추천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